EC2 스케쥴링 손쉽게 하기

AWS에서는 EC2에 대해서 정말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특이하게도 스케쥴링 기능을 네이티브로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필요하면 알아서 만들어서 사용하라고 가이드는 하고 있습니다. (관련 문서) 이러나 저러나,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야 한다면 역시 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스케쥴러가 가장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그래서 본 글에서는 OpsNow의 개발계에서 사용하는 EC2 스케쥴링 방법과 그 사용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Lambda 함수…

Continue reading EC2 스케쥴링 손쉽게 하기

OpsNow의 AWS 빌링 데이터 처리 시스템 개발기

제가 처음 OpsNow에 합류하고 받은 업무 중에 하나는 데이터 레이크 구축이었습니다. 모든 데이터를 한 곳에 모아놓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과 그 데이터들을 종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원대한 포부가 있었습니다. 물론 해당 프로젝트는 여전히 진행중이지만, 순차적으로 내부 시스템 개편을 위해 진행했던 세부 프로젝트중에 하나가 바로 AWS의 빌링 데이터 처리 시스템 개편이었습니다. 머나먼 과거에는… 모든 프로젝트는…

Continue reading OpsNow의 AWS 빌링 데이터 처리 시스템 개발기

AWS EC2에 IAM으로 SSH 연결하기

AWS에서는 IAM (Identity & Access Manager) 이라는 서비스가 존재합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와 롤에 대한 정책 관리를 제공합니다. 그러면 관리자는 세밀한 서비스 접근 제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AWS Systems Manager에서는 세션 관리자 (Session Manager)라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전에 SSM-Agent가 설치된 EC2에 대한 웹 SSH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 소개할 SSH 연결…

Continue reading AWS EC2에 IAM으로 SSH 연결하기

AWS EC2에 개인 키로 SSH 연결하기

AWS를 처음 시작하면 일반적으로 EC2를 가장 먼저 배포하게 되고, 그 위에서 작업을 시작하게 됩니다. On Premise에서는 개인 키 (Private Key)를 사용하든지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사용하여 로그인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AWS에서는 기본적으로 개인 키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VPC와 서브넷 구성, 그리고 보안 그룹에 따라서 EC2에 바로 연결이 될 수도, 안될 수도 있습니다. 이번…

Continue reading AWS EC2에 개인 키로 SSH 연결하기

AWS에서 워드프레스 블로그 구축하기

OpsNow에서는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어떻게 구축했을까요? 워드프레스는 웹사이트의 규모에 따라서 백엔드 아키텍처가 달라집니다. 같은 구조에서 수직 확장도 물론 가능하지만, 언제나 수평 확장이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저희 블로그는 이제 구축한 단계이므로 보통 난이도의 수평 확장을 염두에 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핵심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ALB (Application Load Balancer)와 ACM (AWS Certificate Manager)을 이용한 SSL S3 (Amazon Simple Storage…

Continue reading AWS에서 워드프레스 블로그 구축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