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S로 Nexus 구축하기

최근에 Jenkins 서버의 용량이 가득 차면서 함께 올라가있던 다른 서비스들도 멈춰버리는 문제점이 발견되었습니다. 그래서 그 중 하나인 Nexus를 분리하고 Blob Store를 Local Storage가 아닌 S3로 설정하여 비용 절감을 꾀하기로 합니다. 기왕 이렇게 하기로 결정하였으니, ECS에 서비스 형태로 올려보고자 합니다. EFS 설정하기 ECS의 Fargate는 EBS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조금 더 비싼 요금을 자랑하는 EFS를 볼륨으로 제공합니다.…

Continue reading ECS로 Nexus 구축하기

Maven 또는 Gradle 프로젝트를 도커 이미지로 빌드하기

많은 고객들이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로 이전하였음에도 서비스 형태나 어플리케이션 배포는 기존 레거시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EC2를 직접 생성하고 그 안에 SSH로 접속해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방법은 EC2를 온디맨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외에는 크게 달라진 것이 없습니다.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도커로 만들게 된다면, 도커 기반의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이용하여 좀 더 배포에 용이한 CI/CD 구조를…

Continue reading Maven 또는 Gradle 프로젝트를 도커 이미지로 빌드하기

AWS SAM으로 개발하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점차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면서 단순히 공유 인프라를 제공하던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를 뛰어넘어 인프라 관리를 신경 쓸 필요가 없는 PaaS (Platform as a Service) 형태의 서비스가 널리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개발자가 컴퓨팅 자원, 즉 서버에 대한 관리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흔히 Serverless라고 불립니다. 이처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운영하는데 인프라의 경계가 사라지고 Serverless가 등장함으로써…

Continue reading AWS SAM으로 개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