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sNow 사용자 대시보드 – 신규 위젯 : 통합벤더 비용위젯 출시

A사, B사, C사…  여러 벤더의 클라우드 서비스 비용을 통합 벤더 비용 위젯을 통해서 한 눈에 쉽고 편리하게 파악하세요. 멀티 클라우드를 도입하려는 움직이 있지만, 아직 클라우드 사용 비용을 통합으로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신규 위젯인 통합벤더 비용위젯 (Integrated Multi Vendor Cost)을 통해서 멀티 클라우드를 사용 중인 사용자들도 한 눈에 여러 벤더의 클라우드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합벤더 비용위젯은…

Continue reading OpsNow 사용자 대시보드 – 신규 위젯 : 통합벤더 비용위젯 출시

OpsNow 사용자 대시보드 – 카테고리, 서비스 그룹별 통합 비용 분석 위젯 출시

OpsNow 카테고리별 통합 비용 분석 위젯과 서비스 그룹별 통합 비용 분석 위젯 출시 OpsNow의 또 다른 멀티 벤더 위젯, 멀티 벤더의 사용 비용을 ‘카테고리별 통합 비용 분석 위젯’과  ‘서비스 그룹별 통합 비용 분석 위젯’에서  관리해보세요.  전략적으로 멀티 클라우드를 사용하지만 정작 이들을 관리할 수 있는 툴이 없거나, 벤더별로 분리된 화면에서 불편하게 관리해야 했습니다. 카테고리별 비용 분석…

Continue reading OpsNow 사용자 대시보드 – 카테고리, 서비스 그룹별 통합 비용 분석 위젯 출시

ITSM과 인시던트 관리

ITSM이 무엇인가요? IT 관련 학과 전공자이거나 IT 업계에 종사하고 계신 분이시라면 ITSM이라는 용어는 익숙하거나 낯설지 않으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TSM은 IT 서비스 관리 (IT Service Management)의 약자로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IT 서비스를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관리하고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및 프로세스의 집합  잘 이해가 가지 않으실 수도 있는데 기존의 기술 중심 관리에서 벗어나 경영…

Continue reading ITSM과 인시던트 관리

AWS 트래픽 로그와 비용 분석

얼마 전에 갑자기 비용이 소폭 상승하여 그 원인을 찾고자 다양한 메트릭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과정을 기록 차원에서 남겨보고자 합니다. 이상 비용 AWS 조직 계정에서 비용을 살펴보던 도중에 최근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비용 절감 차원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데 비용이 증가할 리는 없으니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신호가 분명합니다. 여러 차원으로 살펴본 결과, 두 가지…

Continue reading AWS 트래픽 로그와 비용 분석

Ngrok 사용하여 개발하기

웹사이트나 API 서버를 개발할 때 일반적으로는 로컬 개발환경을 구축하고 개발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외부 서비스와 연동을 하거나 외부에서 접근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상용(Production) 환경이 아니라 개발 환경에서 외부 접근을 열어주는 일은 굉장히 번거로운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Ngrok이라는 프로그램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Ngrok Ngrok은 외부(Public)에서 로컬에 접속할 수 있게…

Continue reading Ngrok 사용하여 개발하기

AWS SES BounceRate 관리하기

AWS의 SES (Simple Email Service) 서비스는 별도의 SMTP 서버 구축 없이 Outbound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이메일을 전송할 수 있으며, 발송한 이메일의 수에 따라(데이터 전송 비용 별도) 요금이 부과되므로 적은 부담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ounceRate란? AWS SES는 BounceRate라는 수치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BounceRate는 단어 그대로 반송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체 전송되는 메일…

Continue reading AWS SES BounceRate 관리하기

OpsNow Custom Report Exporter

OpsNow Custom Report Exporter (CRE) 기능 출시 사용자 피벗기능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원하는 리포트로 만들어 신속하게 이메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리포트 템플릿 기능도 제공합니다. Opsnow는 사용자 피벗 기능을 이용하여 리포트를 생성 할 수 있는 Custom Repoort Exporter(이하 CRE) 서비스를 제공합니다.사용자는 최신의 소량의 데이터를 확인 하면서 원하는 리포트 템플릿을 만들 수 있습니다.만들어진 템플릿을 통하여 전체…

Continue reading OpsNow Custom Report Exporter

AWS 계정 사이에 도메인 이전하기

이번에 도메인 관리 계정 B를 새로 AWS Organization에 멤버 계정으로 포함시키면서 다른 계정 A에 있던 도메인들을 이전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작업은 콘솔 상에서 할 수 없는 작업이라서 CLI 작업을 통해야만 합니다. 별로 어려운 작업은 아니지만, 그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도메인 이전 요청 먼저 A 계정에서 도메인을 B로 이전하겠다고 요청을 해야합니다. 예시 도메인인 example.com을 통해서 명령어를 살펴보도록…

Continue reading AWS 계정 사이에 도메인 이전하기

GoDaddy에서 Route 53으로 네임 서버 변경하기

기존에 OpsNow에서는 GoDaddy를 통해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DNS를 관리하였습니다. 물론 GoDaddy도 훌륭한 서비스입니다만, AWS 위에서 서비스를 개발하고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무조건 Route 53을 쓰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AWS 리소스 엔드포인트를 A Record로 지정 가능 단순 라우팅 외의 다양한 라우팅 정책 사용 가능 조금 더 훌륭한 UI 그래서 DNS 관리 주체를 GoDaddy에서 Route 53으로 변경하기…

Continue reading GoDaddy에서 Route 53으로 네임 서버 변경하기

Vuejs 와 location.href

OpsNow의 프론트엔드는 Angular, Vuejs 등 Single Page Application (SPA)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프로젝트는 Hash 방식 (Vuejs 기준)을 사용하여 라우팅을 하고 있었는데, 여기에는 2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URL이 예쁘지 않습니다. (http://localhost:8080/#/myapp) 늘어나는 요구사항을 커버하기 위하여 서비스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 제대로된 URL 정책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subdomain 을 사용하던 것을 URI 를 통해 분기하도록 바꾸려고 합니다. (http://myapp01.mydomain.com → http://mydomain.com/myapp01/) 그래서…

Continue reading Vuejs 와 location.href